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프라
- vault agent
- 커널 파라미터
- auth methods
- 유닉스
- Vault
- Secret Engine
- hashicorp
- 백업
- kv
- 리눅스
- key/value
- backend storage
- 자동화
- devops
- IAC
- 차분 백업
- 통합 풀 백업
- REST API
- VIRT
- 파일시스템
- 앤서블
- 전체 백업
- DATA 백업
- 시스템
- secret engines
- Role
- 구성관리
- SHR
- SSH OTP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
클라우드 아카이브
개요 본 포스팅에서는 (1)에서 구성한 LVM에 파일시스템 및 마운팅을 진행하여 DBA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해당 작업을 수행하먀 느낀점으로 포스팅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작업 이행 구성된 LVM에 마운팅 및 파일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정리하겠습니다. 1. 파일시스템 구성 EC2와 연결된 EBS를 마운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CLI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바이스 이름 및 용량을 확인합니다. lsblk와 df가 다른 점 lsblk는 EC2에서 접근 가능한 디스크 블럭 장치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인 반면에 df는 물리적 디스크에서 마운팅 된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EBS는 아직 EC2에 마운팅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df를 사용하여 확인이 불가합니다. lsblk 명령어를 통..
개요 시스템 엔지니어로 직무를 수행하다보면 신규 서버를 구축할 때 오라클 DBA에게 LVM 및 파일시스템을 구성한 이후 이관을 해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시리즈의 (1)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관계형 DBMS인 오라클을 설치 및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LVM을 구성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다음 (2) 포스팅에서는 구성된 LVM에 파일시스템 및 마운팅을 진행하여 DBA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테라폼 코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github 주소 사전학습 테라폼을 사용하여 EC2 및 EBS 프로비저닝 파일시스템의 개념 파티션의 개념과 종류 LVM의 개념과 사용법 요구사항 모든 파티션은 Primary Partition으로 구성하며, 파티션 테이블은 GPT로 설정 파일시..
1. 개요 본 포스팅에서는 프로비저닝 도구인 테라폼을 사용하여 AWS에 RHEL 7 서버 1개를 생성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2. 사전 학습 - 테라폼의 개념과 특징 (테라폼을 사용하여 AWS에 EC2 생성) 3. 실습 : 테라폼으로 EC2 및 EBS 생성 《시스템 구성도》 EC2를 생성한 다음 해당 노드에 EBS를 구성/연결하겠습니다. 1. 생성할 EC2 코드 작성 [요구사항] - OS : RHEL 7 - Mem : 2GB - CPU : 1 Core 테라폼의 개념과 특징 (테라폼을 사용하여 AWS에 EC2 생성)에 작성한 코드에서 ami 및 instance_type만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생성할 EC2에 외장 스토리지를 생성 및 연결하기 위해 해당 ami 및 인스턴스 타입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목표 테라폼과 앤서블을 사용하여 OS에 LVM을 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겠습니다. Oracle DBA에게 DB 시스템 구성을 위해 필요한 파일시스템을 구성해달라는 요청사항을 받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요구사항 - 프로비저닝 도구 : Terraform - 구성관리 도구 : Ansible - 신규 서버 OS : RHEL 7 문제해결 프로세스 1. 테라폼 이용 1) RHEL 7 서버 1개를 구축 2. 앤서블 이용 1) 해당 서버에 LVM 구성 2) 사용자 및 그룹 생성 3) OS 방화벽 및 SELinux 서비스 종료 - 자사에서 기존에 운영 중인 방화벽을 사용한다고 가정 심화학습 1. AWX Tower를 구성하여 앤서블을 GUI 기반으로 구축
개요 2000년대 초반에만 해도 시스템 관리자가 담당할 서버의 개수는 매우 적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업의 인프라의 복잡성은 증대되고, 시스템 관리자가 관리해야할 개수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게 됩니다. 이처럼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대되면서 DevOps 및 IaC와 같은 개념이 생겨나게 되는데요. 특히, 현대 인프라의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IaC를 이용한 시스템 자동화가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복잡성을 해결해줄 수 있는 프로비저닝 및 구성 관리 자동화 도구인 테라폼에 대해 알아보는 글을 쓰겠습니다. 테라폼이란? 2014년에 Hashicorp에서 최초로 배포된 오픈 소스 기반의 프로비저닝 및 구성 관리 자동화 툴입니다. 테라폼은 Go로 개발되었으며 Linux..
개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3-tier 아키텍처를 구성할 때, WEB/WAS는 윈도우, DB는 리눅스 등으로 지정하여 구축하곤 합니다. 초기에 시스템을 구성할 때 시스템 관리를 위한 디스크,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디스크로 나누어 구성하는데요. 오라클의 경우 보통 관리 및 데이터 영역을 파티션으로 나누어 구성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나누기 위해 사용되는 파티션에 대한 개념 및 종류, 그리고 파티션 관리자와 파티션 테이블에 대해 알아보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파티션이란? 파티션은 물리적인 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한 단위이며, 해당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서는 리눅스에 파티션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야 합니..
개요 회사에서 리눅스 상에 스토리지를 파티셔닝 및 다수의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는 업무를 진행할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업무 수행에 사용되는 LVM은 장치 매핑 커널 드라이버이며 해당 드라이버를 통해 물리 스토리지를 쪼개어 각 파일시스템을 구성 및 관리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LVM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 개념 및 용어를 정리하겠습니다. LVM (Logical Volume Manager)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적인 디스크에 대해서 Volume (공간)을 Logical (논리적으로) Manager (관리해주는 관리자)입니다. LVM은 커널의 일부분으로써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동작하며, 효과적으로 스토리지를 논리 공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1998년에 Heinz Mauelshagen가 HP-..
개요 시스템 엔지니어로 근무하면서 느낀 점은 서버 및 스토리지 등의 IT 자산 현황을 관리하는 것과 동일한 성격을 가진 서버의 구성이 일관되도록 유지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실제 매달 IT 자산의 변경사항을 최신화하고 관리하고 있으며 특정 보안 취약점 발견 및 hotfix 적용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대상 서버에 동일한 구성 변경을 진행해야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앤서블이 생겨난 배경과 정의 그리고 해당 도구를 사용하면 어떤 부분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앤서블이 생긴 배경 과거와 달리 현재에서는 시스템 엔지니어 한 명이 관리해야할 서버가 수백대가 될 정도로 기업의 인프라 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관리 대상이 많아지다보니 수백대의 서버에 일괄 구성..
개요 시스템 엔지니어로 업무를 수행하다보면 데이터를 저장할 방식에 따라 DAS/NAS/SAN 스토리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축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스토리지가 갖는 데이터 저장 방식과 개념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파일 스토리지 : 파일이 하나의 데이터 단위 + 비선형(계층) 구조 백화점을 가면 주차장에 A, B, C가 적힌 기둥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지하3층에 C가 적힌 기둥의 3번째 자리에 주차를 한다고 하면 3F-C-3이라는 고유값을 가지는데요. 이처럼 주차장이라는 공간을 여러 층과 기둥 등으로 계층화해서 관리하는 방식은 파일 스토리지의 메커니즘과 같습니다. 각각의 파일에 메타 데이터(수정일, 생성일, 파일크기, URI 등)을 두고, 해당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규모의 파..
개요 Windows에서 특정 실행 파일을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로 만드는 것과 같이 리눅스에서도 링크를 통해 특정 파일에 대한 바로가기를 만들어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Linux에서 Windows의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게 링크(정확히 말하면 소프트링크)입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이러한 링크라는 개념을 자주 맞닥드리게 되는데요. 본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운영자가 알고 있어야 할 링크의 개념과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가 차이가 무엇이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노드 :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담고있는 자료구조 본격적으로 링크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기에 앞서 아이노드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inux에 구성된 파일시스템 내에 모든 파일은 고유한 아이노드에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